- 판례로 알아 보는 대항력
- 김미정 / 2018.12.24
임차인 주소가 등기부와 다를 경우 대항력
임차인의 주민등록상 주소가 등기부상 표시와 다르다는 이유로 임대차의 대항력을 부정하는 근저당권자의 주장이 신의칙에 위배됨을 판단하는 기준(대법원 2008. 2. 14. 선고 2007다332** 판결)
[ 판례 해설 ]
주임법상 대항력의 요건 중 주민등록이 있는 바, 주민등록상의 주소와 등기부상의 표시가 다른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유효한 주민등록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대항력을 인정받기 어렵다. 다만 대상판결에서 문제가 된 것은, 근저당권자가 저당권을 설정할 당시 이미 주민등록상의 주와 등기부상의 표시가 다른 사실을 알고 있었고, 더 나아가 이미 임대차 관계가 성립되어 자신이 후순위로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 상태에서 근저당권을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보다 먼저 생긴 임대차 관계가 주임법상의 대항요건을 결여하였다고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상 허용되느냐의 여부이다.
그러나 주임법상 주민등록과 건물의 인도는 제3자를 위한 공시 작용을 위한 요건으로 가장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바, 이를 단순히 민법상 신의칙으로 배척하는 것은 법적안정성의 관점에서 크나큰 해를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대상판결도 이와 같은 법리적 관점을 고려하여 신의칙의 법리로 근저당권자의 주장을 배척한 원심 판결을 파기하였던 것이다.
[ 법원 판단 ]
근저당권자가 임차인의 주민등록상 주소가 등기부상 표시와 다르다는 이유로 임대차의 대항력을 부정하는 주장이 신의칙에 비추어 용납될 수 없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그 주장을 배척할 수 있으나, 이는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하여 인정되는 법률관계를 신의칙과 같은 일반원칙에 의하여 제한하는 것이어서 법적 안정성을 해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에 있어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주민등록이 임대차를 공시하는지 여부는 사회 통념상 그 주민등록으로 당해 주택에 임차인이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다고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므로, 근저당권자가 근저당권 설정에 앞서 임차인의 주민등록상 주소가 등기부상 표시와 다르다는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는 사정만으로는 임대차의 대항력을 부정하는 근저당권자의 주장이 신의칙에 위배된다고 할 수 없고, 임차인의 주민등록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면서 그 임차인을 선순위의 권리로 인정하고 그만큼 감액한 상태의 담보가치를 취득하겠다는 전제에서 근저당권을 설정하였으면서도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의도로 사후에 임차인의 손해는 전혀 고려함이 없이 그 주민등록의 잘못에 따른 임대차의 대항력 결여를 주장하는 경우와 같이, 근저당권자의 권리행사가 상대방의 신의에 반하고 정의관념에 비추어 용인될 수 없는 정도의 상태에 이른다는 사정이 구체적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대법원 1991. 12. 10. 선고 91다3802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들이 이 사건 오피스텔의 일부를 각 임차하여 입주하면서 임대차계약서에 기재된 대로 피고 1은 '에이스텔 404호'로, 피고 2는 '에이스텔 504호'로 각 전입신고를 하였는데, 그 후 건축물관리대장이 작성되면서 그 호수가 '에이스텔 404호'는 '에이스텔 4층 304호'로, '에이스텔 504호'는 '에이스텔 5층 404호'로 각 바뀌어 표시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 2의 위 주민등록은 해당 임대차의 유효한 공시방법이 될 수 없으나, 통상 담보권자로서는 담보로 제공된 건물의 임대차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원고도 담보가치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504호'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는 '5층 404호'를 누군가가 임차하여 거주하고 있으며 피고 2가 '504호'로, 피고 1이 '404호'로 각 표시하여 전입신고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보이고, 따라서 원고로서는 위 '5층 404호' 건물의 담보가치를 파악함에 있어 대항력 있는 임대차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었고 임차인의 임차보증금 상당액을 고려한 상태에서 근저당권을 취득하였다고 할 것임에도, 위 건물에 관한 건축물관리대장 및 등기부의 호수 표시가 바뀌는 바람에 피고 2가 임대차의 대항력을 잃게 되자 이를 기화로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의도에서 위 피고의 손해는 전혀 생각함이 없이 배당요구를 하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위와 같은 원고의 근저당권자로서의 권리 행사는 신의칙에 반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기록을 살펴보아도, 원고가 피고 2의 주민등록상 주소가 등기부상의 표시와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볼 증거가 없을 뿐 아니라 실제로 원고가 임대차관계를 조사한 사실이 있는지, 조사하였다면 언제, 어떤 방법으로 하였고 그 결과는 어떠하였는지, 채무자에 대한 대출은 어떤 경위로 이루어졌고 그에 대한 담보가치는 어떻게 평가하였는지 또 대출금액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원고의 위 피고에 대한 배당이의를 받아들이면 원고에게 어떠한 결과가 발생하게 되는지 등과 같이 원고의 임대차 대항력 결여 주장이 위 피고에 대한 신의에 반하고 정의관념에 비추어 용인될 수 없는 정도라고 인정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정에 관하여 아무런 심리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음을 알 수 있는바, 그럼에도 그 판시와 같은 사실만으로 원고가 위 건물의 대항력 있는 임대차의 존재를 인식하고 임차보증금 상당액을 고려한 상태에서 근저당권을 취득하였다고 추측하고 나아가 근저당권자로서의 원고의 이 사건 권리 행사가 신의칙에 반한다고 단정한 원심판결에는 위에서 본 신의칙에 관한 법리에 어긋나게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고, 이는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다. 상고이유 중 이 점을 지적하는 부분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고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피고 1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위 피고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 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